▲ 수덕사 방장 원담스님 휘호. (백년의 일 한바탕 꿈이고 세상풍진 한판의 바둑이다.) 스님은 청나라 황제 순치제의 시를 인용하여 인생 한바탕을 한판 바둑에 비교하셨다.)



1. 역사 속의 바둑 

80년 이후 계속되고 있는 부여 능사리 절터 발굴 조사에서 나온 백제 목간에는 이런 글귀가 있다.

-宿生結業 同生一處.

‘지난 생에 맺은 인연으로 오늘 이곳에서 만났다’는 정도의 글로 7세기 백제인의 문장 구사력과 함께 불교의 윤회론이 잘 녹아 있음을 보여주는 문장이다. 백제의 불교는 웅진시대에 이미 사택지적비를 통해 그 수준과 실심함을 보여 준 바 있다. 사택이 인생의 허무를 느끼고 전 재산을 들여 옥으로 만든 탑과 절을 지어 바친다는 비석의 내용은 능사리 목간과 함께 백제의 불교를 충분히 알려준다 할 것이다.

'주서'는 백제에 다탑다사(多塔多寺)라 하고 있다. 주서는 백제에 도사(道士)가 없다고 했다. ‘도사’는 도교의 샤먼(shaman)으로 수당시대 중국에 유행하던 종교다. 주서는 백제에 바둑이 크게 유행한다고 했다. 불교와 바둑이 25사 중의 25사라 평을 받는 주서에 포착된 것은 불교와 바둑이라는 이질적(?)인 문화 인식에 일격을 가하는 기록이다.

한반도의 고대사에 한자와 종이, 불교와 바둑의 동전(東傳)은 오늘날의 대한민국의 정체성의 한 축이다. 가장 오래되었고 가장 넓게 퍼진 이 사류(四流-한자 종이 불교 바둑)의 스펙트럼은 초기 한국문화의 튼실한 기초이자 뿌리라 할 수 있다.

절집 안의 바둑은 경주 분황사지에서 나온 전돌바둑판과 익산 미륵사지에서 발굴된 바둑알로 확인된다. 동시에 '원감록'이나 기타 수많은 고승일록과 문인들의 문집에서 절집과 지근에서 지냈던 바둑의 모습은 무궁무진하다. 

고려시대의 승려 원감선사 문집 '원감록'은 바둑의 정치하고 현묘한 내용에 감탄하고 긍정하는 장면을 싣고 있다. 

원감선사의 바둑관은 조선시대에 와 서산, 유정 등 수많은 고승대덕들의 문집에 빈번하게 등장한다. 그중 한 편인 다송시고(茶松詩稿)는 금명보정(錦溟寶鼎 1861-1930)의 작으로 바둑과 절집의 하모니가 잘 나타난다. '다송시고'는 초의선사로 이어지는 한국 차문화의 전승자이기도 하다.

보정은 솔잎 한 바람과 바둑판 위에 떨어지는 바둑돌 소리에 세상의 온갖 인연을 끊고 '결사'의 마음으로 정진하던 고인들을 사모하고 승부를 떠난 바둑판을 보며 나무를 쪼개어 차를 다리는 최소한의 도략으로 나를 달랜다며 바둑과 차문화를 긍정한다.

이청  2014-05-06 

더보기http://www.cyberoro.com/news/news_view.oro?div_no=A1&num=519112&pageNo=1&cmt_n=0



▲ 티베트 시킴왕국의 17줄 바둑판.


by orobadukad 2014. 5. 7. 14:09




이 제목은, 이창호는 마음이 나빠서 저주를 하고 이세돌은 마음이 좋아서 축복을 한다는 뜻은 아니다. 그 의미는 이 글을 읽으면 자명해질 것이다. 

필자는 통계적 분석과 수학적 계산을 통해서 어떤 사실을 증명하려고 하고 그런 사실에 따라 어떤 제안을 하는 글들을 자주 써왔다. 이런 글들은 글의 성격상 딱딱하기 마련이다. 그래서 이미지를 부드럽게 하기 위해서 때로는 딱딱하지 않은 글을 쓰기도 했는데, “누가 돌부처를 이길 수 있나?” (☜ 바로보기 클릭) ) 또는 “바둑 실력과 이름” (☜ 바로보기 클릭) 등이 이런 글이다. 이 글도 그러하므로 통계적 오차가 어떻고 하는 이야기는 하지 않고 그냥 읽고 재미를 느끼셨으면 한다.

이창호의 저주 
이창호의 전성기에 세계기전에서 일찍 탈락하는 경우, 그를 떨어뜨린 기사는 그 기전에서 우승하지 못한다는 ‘징크스’가 거의 들어 맞았다. 그러다 보니 이것은 이창호의 저주를 받아서 그렇게 된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돌았다. 이창호의 홈페이지에 ‘이창호의 저주’라는 말이 자주 올랐고, 정동환의 블로그 [정동환의 바둑동네 이야기] (☜ 바로보기 클릭)에도 나온다. 이창호의 홈페이지에 2005년 중간까지의 자료를 모아놓은 것이 있다. 

[표1]은 그 자료에 2005년 이후의 자료를 더한 것인데, 2번부터 33번까지가 인터넷의 자료에서 가져온 것이고 1번은 누락된 것을 집어넣은 것이다. 이 표의 네 번째 종렬에 이창호를 탈락시킨 기사의 이름과 기전의 단계가 적혀있고, 다섯 번째 종렬에 그 기사가 그 기전에서 어디까지 올라갔으며 그의 상대기사는 누구인지가 적혀있다. 

먼저 1번부터 33번까지의 자료를 보자. 이창호를 탈락시킨 33번 중에서 단 2번만 그를 이긴 기사가 우승한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이창호의 저주’가 매우 위력적(?)이었음을 증명한다. 여기서 한국기사를 제외하면 이창호의 저주는 100% 효력이 있었다.

2005년 중반 이후 34번부터 58번까지는 어떨까. 25회 중에는 이창호를 탈락시킨 기사가 5번 우승했는데, 이세돌과 구리가 각각 두번씩 우승했다. 이창호의 저주가 위력이 덜해졌는지 아니면 이세돌과 구리 두 사람은 이창호의 저주를 이겨내는 면역이 강한 사람인지 모를 일이다. 가장 최근에는 LG배 32강전에서 이창호를 탈락시킨 퉈자시가 LG배 타이틀을 땄다.

배태일 

더보기http://www.cyberoro.com/news/news_view.oro?div_no=A1&num=518947&pageNo=1&cmt_n=0

by orobadukad 2014. 3. 5. 18:44


▲ 2012년 7월 열린 제1회 영재입단대회.


입단연령과 바둑실력 분석

금년 1월의 한국기원 입단자들의 나이를 보고 놀라움을 금할 수 없었고, 입단제도가 제대로 가고 있는가 심하게 의심하지 않을 수 없었다. <표1>에 입단자들의 명단과 나이를 적었다. 만16세에서 30세까지 분포되어 있다. 작년에 26세의 이호승이 입단하는 것을 보고 “이러다가는 머지 않아 30대의 입단자가 나오겠군.” 하고 이세돌 9단이 지나가는 듯 한마디 했는데 일년이 채 지나지 않아 그렇게 되었다.

그런데 입단 소식을 전하는 사이버오로의 기사에서 처음 붙인 제목이 “우리의 희망: 중국 기다려라”였다. 이것은 해학적으로 붙인 제목이었을 것이고, 그 이후로 수정되었다. 만약 이렇게 나이가 많아서 입단한 새내기들이 우리의 희망이라면 우리의 앞날은 암담하다고 볼 수밖에 없다. 중국에서는 16, 17세에 세계바둑 챔피언이 나오는 마당에 그보다 나이 많은 새내기들을 입단시켜서 국제경쟁력에 무슨 도움이 되겠는가? 우리나라 기사들 중에서도 박정환은 2011년 18세에 후지쓰배 타이틀을 땄었다. 


▲ <표1> 2014년 1월 입단자 명단


어려운 경쟁을 거쳐서 입단한 개인들을 축하하는 것이 도리이고 그들을 비난할 의도는 없지만, 이들이 이렇게 늦은 나이에 입단할 수밖에 없게 만드는 입단제도에 대해, 이를 운영하는 한국기원의 정책에 대해서는 쓴소리를 하지 않을 수 없다. 

입단연령의 시간적 변화
이 기회에 입단연령과 바둑실력의 상관 관계를 체계적으로 조사해 보자. 
[그림1]에 1958년에서 지금까지의 남자기사들의 입단연령을 그렸다. 2009년 이후에 현역으로 활동한 모든 남자기사들을 포함했고, 2008년 이전에 은퇴한 기사들은 포함하지 않았다. 각 기사들의 자료를 입단 연대 순으로 나열했고 같은 해에 입단한 기사들 사이에는 그 순서가 무작위적이다. 이 글에서 나이는 특별히 만 나이라고 지칭하지 않으면 당시의 연도에서 출생 연도를 뺀 숫자이다.


▲ [그림1] 한국기원 입단연령의 시간적 변화


우선 눈에 뜨이는 것이 이창호가 입단한 때로부터 연구생 입단제도가 강화되어서 입단연령이 대폭 낮아졌고, 25세가 넘어서 입단하던 일반인들의 입단이 점점 줄어갔다. 이처럼 낮아졌던 입단연령이 1999년부터 서서히 올라가기 시작했다. 그 이후로 12세 입단자가 사라졌고, 2006년에 각각 13세, 14세였던 박정환과 김승재가 입단한 후로 최근에 5명의 예외가 생긴 것을 빼고는 15세 미만의 입단자가 없어졌다. 
최근에 15세 미만으로 입단한 기사는 13세에 입단한 이동훈이고, 2012년과 2013년에 영재입단을 한 신진서, 신민준, 설현준, 최영찬이다. 

입단연령과 실력의 상관 관계
현재 한국바둑의 대들보 역할을 하는 이세돌, 박정환, 최철한, 김지석, 박영훈, 원성진, 강동윤 등이 김지석을 제외하고는 13세 이전에 입단했다. 비교적 늦게 입단하고도 최근에 세계타이틀을 딴 기사는 만14세 11개월에 입단한 백홍석뿐이다. 

이처럼 빨리 입단해야 바둑에 대성할 수 있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는데, 이제 입단 연령과 실력의 상관 관계를 체계적으로 조사해 보자. [그림2]에 한국 남자기사들의 입단연령과 그들이 2009~12년 사이에 얻은 최고 랭킹점수의 상관 관계를 그렸다. 각 점은 한 기사의 입단나이와 그가 얻은 최고 점수를 나타낸다. 여기서 입단나이와 실력이 상관관계가 매우 큰 것을 볼 수 있다.
(중략)

입단제도에 대한 많은 댓글이 달리고 있습니다. 더보기를 원하시면 아래 URL을 클릭하세요. 

더보기 http://cyberoro.com/news/news_view.oro?num=518912

배태일  2014-02-24 

by orobadukad 2014. 2. 25. 09:42


▲ 다산이 제자 황상에게 준 글.


 바둑 두는 정조.

영조대왕 행장에는 영민한 군주 영조가 바둑, 장기를 좋아하지는 않았으나 내용은 훤하게 이해했다는 기록이 있다. 영조의 아들이자 정조의 아비인 '사도'는 바둑과 장기에 능통했고 바둑판을 부인 홍씨의 얼굴에 던져 크게 상하게 한 적이 있을 정도로 바둑과 지근 관계였다.

정조는 영조와 사도를 잘 벤치마킹한 군주로 영조의 결벽성과 사도의 과격성을 잘 아우른 점을 바둑에서도 보여준다. 정조는 "나는 바둑을 잘두지 못한다"고 홍재전서에 토로했다. 바둑을 잘두지 못한다는 말은 바둑을 아주 못둔다는 말이 아니라 잘두지 못한다는 의미다. 정조는 홍재전서에 바둑을 의미 있게 말한 바 있다.

'나는 세상에서 말하는 기예(技藝)를 잘 모른다. 바둑은 옛날부터 있었던 문방아기(文房雅技)인 데도 나는 잘 모른다. 두지를 않아 못두는 것이 아니고 본래 재주가 없어 그렇다.'

더보기 http://cyberoro.com/column/column_view.oro?column_no=13807&group=38

2014-01-30 이청 


by orobadukad 2014. 1. 30. 20:25


(중략)
일개 아마추어로서 정상급 기사의 바둑에 대해 왈가왈부할 수는 없으나, 대개 프로기사들은 조한승의 기풍을 '유연(柔軟)'이나 '균형(均衡)'이라는 단어로 표현하는 모양이다. 또 해설하는 모 기사의 말을 빌자면 연구생이나 입단 새내기 기사들이 조한승의 기보를 가장 많이 연구하며, 그의 기풍을 본받고 싶어한다는 것이다.

때로는 그 유연함이 지나쳐 한 때 2%가 부족하다느니 하는 볼멘 평가도 많았으나, 바둑을 보는 그의 시선과 균형을 잡아가는 대국관을 볼 때마다 감탄을 금치 못하였던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 높은 '품격'의 바둑을 관전하는 즐거움이란.

天下莫柔弱於水 而攻堅强者莫之能勝以其無易之 弱之勝强柔之勝剛 天下莫不知莫能行
천하막유약어수 이공견강자막지능승이기무역지 약지승강유지승강 천하막부지막능행

천하에 물보다 부드럽고 약한 것이 없는 바 굳세고 거칠게 공격하는데 능히 이기지 못하는 것은 물의 그 본성을 바꾸지 못하기 때문이다. 약한 것이 강한 것을 이기고, 부드러움이 굳셈을 이기는 것은 천하가 다 아나 이를 능히 행하는 자가 없다. - 노자 도덕경 78

대저 유능제강(柔能制剛 : 부드러움이 굳셈을 능히 제압한다)이란 말의 출처란다. 대개 바둑에서 양(陽)이란 드러나는 것이므로 부분적인 수읽기를 필요로 하는 사활문제 따위를 가리키고, 음(陰)이란 쉽게 드러나지 않고 감추는 것이어서 포석(布石) 등의 전략적 사고를 요하는 부분을 일컫는다 한다.

글쓴이 여현  
2014-01-15  

더보기

http://cyberoro.com/board/oro_view.oro?bd_num=13900&bd_div=1 

by orobadukad 2014. 1. 16. 11:57



▲ 눈 내린 서산 서광사. 이곳에서 바둑 템플스테이가 열리고 있다.
    
 

역사적으로 바둑론(論)에 도전했던 사람을 손꼽으라면 이덕무, 정원용, 최남선 정도가 아닌가 한다. 바둑의 역사가 오래이고 기예(技藝)의 하나로 인정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있었다 해도 바둑의 근본을 묻는 질문은 드물었다.

이런 점에서 이덕무의 '박혁론'은 실로 보석 같은 자료다. 이덕무는 평생을 업으로 많은 글을 썼다. 그의 관심은 박람(博覽)이어 세상의 온갖 것들을 탐색했다. 바둑도 예외가 아니어서 아예 논(論)이란 독립의 장으로 예리하고 냉정한 평가를 내리고 있다.

이덕무의 박혁론은 1970년 민족문화추진회의 주도로 국역이 된 바 있다. 역자는 최완수다. 박혁론은 원고 15매 분량의 소략한 것으로 몇몇 바둑 필자들의 소개로 바둑계에도 알려졌다. 물론 원문의 대조나 검토작업 없는 정보제공 수준이다. 

박혁론의 주장은 간단하다.

바둑은 예가 아니다. 바둑은 요임금이 만들지 않았다. 바둑은 배울 점도 없다. 바둑은 백성의 생업을 망칠 정도로 중독성이 강하다. 바둑은 유학의 적인 노자나 장자와 같은 이단이다. 나는 바둑을 모른다. 그리고 알고 싶지도 않다.

더보기 : http://www.cyberoro.com/column/column_view.oro?column_no=13784&group=38 

2014-01-13  이청

by orobadukad 2014. 1. 14. 10:48


▲ '아마국수' 박성균 7단의 소개로 보게 된 조선시대 순장바둑판. 필자
가 지금껏 접한 그 어떤 순장바둑판보다 상태가 좋았고, 그 무엇보다
화려하기 그지없어 황홀하기까지 했다. 감히 말하거니와, 백제 의자왕
이 선물한 것으로 알려진 일본의 정창원 바둑판에 못지 않았다.

(중략)

바둑판에 사용된 거북껍데기는 야기라 부르는 아랍산 거북등껍데기, 즉 대모를 사용했다. 대모는 신라시대부터 궁중 사치품의 최고 품목으로 '인도 침향, 아랍 대모'라 할 정도로 귀하고 고가인 재료다. 이 재료로 바둑판을 치장하고 은사입사(銀絲入絲)를 한 점이 돋보인다.


시대를 측정할 수 있는 자료는 없었다.
그러나 용의 발톱이 일곱 개인 것이서 고종시대 제작된 것으로 유추할 수 있었다.
 일곱 개의 용발톱은 중국황제의 전유물이었던 역사적 맥락을 헤아리면(사대하던 나라에서는 함부로 사용할 수 없다) 조선에서 황제로 등극한 분이 고종임금이었으니 그때로 추정된다. 시기는 1897년에서 1900년 사이쯤 아닐까 한다.

2014-01-03 이청

더보기 http://www.cyberoro.com/column/column_view.oro?column_no=13770&group=38

by orobadukad 2014. 1. 11. 09:58
| 1 |